■ 배경
 ▶ 1973
            4차 중동전쟁으로 유가가 급등하며
            1차 석유파동이
            발생했지만,
 ▶ 1975
            이후 세계 경제는 빠르게 회복세로 접어들었음.
□ 원유 생산 감소
 ▶ 1978.12 이란 혁명으로 인해 원유 생산이 급감하며 수출이 중단됐고,
              동시에 OPEC 국가들도 원유 가격을 인상해 국제 유가가
              급등했음. 
 ↘ 이란 혁명은 팔라비 왕조를 무너뜨리고 이슬람
              공화국을 수립한 혁명으로, 이란 이슬람 공화국은 종교 지도자가
              국가의 최고 권력을 가지는 신정적 공화국 체제를 갖고 있음.
          
            ■ 2차 석유파동
 ▶ 국제 유가는 선물시장에서 두 배, 현물시장에서는 네 배 가까이
              급등하며 국제 금융 시장에 충격을 주었고, 이는 곡물·금속 등 주요
             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이어졌음. 
□ 인플레이션 발생
 ▶ 이로 인해 각국에서는 심각한 인플레이션이
            발생했고,
 ↘ 원유 가격 급등으로 생산비가 올라 물가가
             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인플레이션(비용인상인플레이션)이 발생
 ▶ 정부들은 이를 억제하기 위해 금융 긴축과 고금리
            정책을 시행했음.
 - 선진국들은 수출을 늘리고
            수입을 줄여 무역수지를 방어하려 보호무역 정책을 강화함.
 ▶ 이러한
            대응은 수출 의존도가 높은 신흥공업국, 특히 한국과 같은 국가의 무역
            환경을 악화시켰음.
□ 스태그플레이션 발생
 ▶ 1979 결국 세계는
            고물가와 저성장이 동시에 나타나는 스태그플레이션에 빠졌고, 국제 교역
            환경도 전반적으로 악화되었음.
 ↘ 스태그플레이션은 경제가 침체된 상태에서 물가만
              계속 오르는 현상
 ▶ 그 결과, 비산유 개발도상국들은 수출 부진과 외채
            부담으로 심각한 경제적 타격을 입었음.
 - 1979 한국 경제 성장률은 6.4%로 크게 둔화되었고, 물가 상승률은
              18%를 넘어서며 경제 불안이 심화되었음. 
□ 한국 정부의 대응
 ▶ 원유 가격 상승(비용 증가)과 중화학공업 투자로
            인한 통화량 증가(수요 확대)는 인플레이션 압력을 크게 높이는 요인이
            되었고,
 ▶ 1979.4
            이에 정부는 고물가와 통화량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강력한 금융 긴축을
            중심으로 하는 ‘경제안정화 종합시책’을 시행했음.
          
            ■ 이후
 ▶ 1979
            10.26 사건으로
            유신 체제가 붕괴된
            후,
 ▶ 1980년대 초반까지
            한국 경제는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했지만,
 ▶ 1980년대 중반
            이후 3저 현상이 지속되면서 제조업 중심의 수출 호황을 맞으며 경제
              성장을 회복함. 
          
 
      